함경도식 김치는 한반도 북동쪽에 위치한 함경도(함흥, 청진, 원산 등) 지방에서 발달한 김치로,
남한의 김치와는 다른 깔끔하고 시원한 맛이 특징입니다.
추운 기후 때문에 발효가 천천히 진행되며,
고춧가루 사용이 적고, 젓갈보다는 소금과 국물 베이스로 담가 맑고 담백한 맛이 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함경도식 김치의 특징, 주요 재료, 맛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함경도식 김치의 주요 특징
✅ ① 맑고 시원한 국물
- 남한의 김치처럼 고춧가루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 국물이 맑음
- 국물 베이스가 깔끔하고 개운한 맛이 특징
- 동치미, 나박김치와 비슷한 형태의 물김치가 많음
✅ ② 고춧가루 사용이 적고, 대신 소금으로 간을 맞춤
- 추운 기후로 인해 고춧가루 대신 소금 절임 방식을 많이 사용
- 고춧가루가 들어가도 양이 적어 담백하고 부드러운 맛이 남
✅ ③ 젓갈보다 소금, 생선 육수를 활용
- 남한 김치처럼 새우젓, 멸치젓을 많이 사용하지 않음
- 대신 생선(가자미, 명태, 조기) 육수를 사용하여 감칠맛을 더함
- 일부 김치에는 생선을 직접 넣어 발효시키는 방식(가자미식해, 명태식해 등)도 존재
✅ ④ 장기간 저장을 위한 절임 방식 발달
- 겨울이 길고 춥기 때문에 김치를 천천히 발효하는 방식이 발달
- 소금 절임 시간이 길어지고, 저온에서 천천히 숙성됨
- 겨울철 김장김치(묵은지)로 오랫동안 저장하여 먹음
📢 한마디로, 함경도식 김치는 “고춧가루가 적고, 국물이 맑으며,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2. 함경도식 김치의 대표 종류 & 재료, 맛
✅ 1) 가자미식해 (함경도 대표 발효 김치)
- 특징: 가자미 생선을 이용해 만든 젓갈형 김치
- 주재료: 가자미, 찹쌀풀, 고춧가루, 마늘, 생강, 무
- 맛:
✔ 새콤하면서 감칠맛이 강함
✔ 시간이 지날수록 깊은 발효 향이 남
✔ 쫀득한 가자미 살과 아삭한 무가 조화로움 - 추천 요리: 밥반찬, 막걸리 안주, 보쌈과 함께 먹으면 최고!
✅ 2) 명태식해 (함경도식 생선김치)
- 특징: 명태를 발효시켜 만든 김치류
- 주재료: 명태(또는 동태), 무, 고춧가루, 찹쌀풀, 마늘, 생강
- 맛:
✔ 가자미식해보다 부드럽고 감칠맛이 강함
✔ 씹을수록 고소한 생선 풍미가 퍼짐 - 추천 요리: 밥반찬, 찌개, 보쌈과 궁합이 좋음
✅ 3) 함경도식 동치미 (시원한 물김치)
- 특징: 남쪽 지방의 동치미보다 더 맑고 담백한 국물
- 주재료: 무, 배, 마늘, 생강, 소금, 찹쌀풀, 물
- 맛:
✔ 국물이 맑고 시원하며, 단맛이 약간 있음
✔ 익을수록 깊은 감칠맛이 생김
✔ 남한 동치미보다 덜 맵고, 젓갈 없이 깔끔한 맛 - 추천 요리: 막국수, 냉면 육수, 고기 요리와 함께 먹으면 환상적인 조합
✅ 4) 나박김치 (담백한 국물김치)
- 특징: 얇게 썬 배추와 무를 넣어 만든 물김치
- 주재료: 배추, 무, 배, 소금, 물, 마늘, 생강
- 맛:
✔ 국물이 맑고 청량감이 강함
✔ 숙성되면 새콤한 맛이 돌면서 감칠맛이 증가
✔ 남쪽 지방의 나박김치보다 더 담백하고, 젓갈을 사용하지 않음 - 추천 요리: 밥과 함께 먹거나, 국수에 말아 먹으면 좋음
✅ 5) 깻잎김치 (함경도식 깻잎절임 김치)
- 특징: 고춧가루 대신 소금과 들기름으로 간을 한 깻잎김치
- 주재료: 깻잎, 소금, 마늘, 들기름, 깨소금
- 맛:
✔ 일반 깻잎김치보다 부드럽고 고소한 맛
✔ 발효가 거의 없고, 신선한 상태에서 먹음
✔ 고기 요리와 잘 어울리는 감칠맛 - 추천 요리: 삼겹살, 수육, 보쌈과 함께 먹으면 환상의 조합
3. 함경도식 김치의 맛과 남한 김치와의 차이점
비교 항목 | 함경도식 김치 | 남한(전라도, 경상도) 김치 |
---|---|---|
고춧가루 사용량 | 적거나 없음 | 많음 |
국물 색깔 | 맑고 투명함 | 붉고 진함 |
젓갈 사용량 | 거의 없음 | 새우젓, 멸치젓 등 많이 사용 |
맛의 특징 | 담백하고 시원함 | 감칠맛이 강하고 묵직함 |
발효 속도 | 천천히 진행됨 | 상대적으로 빠름 |
대표 김치 | 가자미식해, 명태식해, 동치미, 나박김치 | 배추김치, 깍두기, 갓김치, 파김치 |
📢 즉, 함경도 김치는 “고춧가루 적음 + 국물이 맑음 + 감칠맛이 부드러움”이 핵심 특징!
4. 결론: 함경도 김치는 맑고 시원한 맛이 특징!
✅ 고춧가루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 → 국물이 맑고 깔끔한 맛
✅ 젓갈보다 생선(가자미, 명태) 육수를 활용 → 감칠맛이 깊음
✅ 추운 지역 특성상 장기 저장 가능 → 김장이 오래가고 천천히 숙성됨
✅ 동치미, 나박김치 같은 국물김치가 많음 → 시원한 맛이 특징
📌 맵지 않고 담백한 김치를 좋아한다면, 함경도식 김치가 딱!
📌 특히 가자미식해, 명태식해는 특별한 발효 방식으로 깊은 감칠맛을 자랑하는 별미! 🍽️🔥